산림
산림병해충방제
소나무 재선충병 진단 및 방제
-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방법과 유전자증폭장치(PCR)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과학적인 정밀 진단 실시
- 재선충병 신규 확산지역 정밀 역학조사 및 재선충 매개충의 생태 연구를 통한 효과적인 방제방법 수립 등 연구
- 매개충 천적인 큰쌀도적의 인공 개체 증식 연구
경북지역 재선충병 발생현황
솔잎혹파리 방제
- 솔잎혹파리 천적(먹좀벌)을 사육 ? 방사하여 친환경적인 방제를 도모하고 천적의 실내사육 기술개발과 이용효과 구명
솔잎혹파리 천적(먹좀벌)
천척방사
- 솔잎혹파리는 소나무와 해송의 솔잎 밑부분에 충영을만들고, 그 속에서 수액을 빨아먹음으로서 피해 잎은 생장이 중지되고 그 해에 변색되어 낙엽이 됨.
- 당년도에 고사하지 않으나 피해가 심하게 반복되면나무가 고사함.
솔잎혹파리 피해 지역
솔잎혹파리 피해 가지
솔잎혹파리 발생연혁
- 솔잎혹파리는 소나무와 해송의 솔잎 밑부분에 충영을만들고, 그 속에서 수액을 빨아먹음으로서 피해 잎은 생장이 중지되고 그 해에 변색되어 낙엽이 됨.
- 당년도에 고사하지 않으나 피해가 심하게 반복되면나무가 고사함.
1-1. 솔잎혹파리 발생연혁
- 1929년 전남 목포와 서울비원에서 최초발견
- 1934년 부산 구덕산에서 발생
- 1982년 강원 동해안에서 발생
- 1990년 제주 서귀포시, 경북 울릉도 에서 발생
- 현재 전국적으로 분포
솔잎혹파리 방제법
- 수간주사
- 실행시기 : 5~6월
- 방 법 : 천공기로 구멍을 뚫고(직경 1cm, 길이 5~10cm)
- 약제주입기로 약제 주입(포스팜 50%액제)
- 효 과 : 살충률 80~95%
- 항공엽면시비
- 실행시기 : 5~6월
- 방 법 : 헬기를 이용 요소+산화마그네슘을 혼합살포
- ha당 100ℓ살포
- 효 과 : 생장촉진과 피해회복
- 피해목벌채
- 실행시기 : 6~11월
- 방 법 : 소생가망이 없는 임지로 집단피해지우선
- 개벌, 대상벌채, 단목적재법 병행
- 효 과 : 확산저지
- 위생간벌
- 실행시기 : 6~11월
- 방 법 : 나무주사 대상지로 우선선정
- 본수율기준 : 90%이상 벌채
- 효 과 : 건전임분조성, 확산저지
- 천적방사
- 실행시기 : 5~6월
- 방 법 : 성충태이식 - ha당 2만마리
- 충영태이식 - ha당 소나무솔잎 10kg
- 효 과 : 생태, 환경의 보전
산림병해충 예찰
- 소나무재선충병, 참나무시들음병 등 주요산림병해충 및 돌발병해충의 발생예찰과 발생시기, 발생량을 예측하여 적기방제에 필요한 정보를 예보하고 산림병해충의 진단 및 방제방법 지도
나무병원 운영
- 수목병해충 진단과 방제 등에 대한 민원 컨설팅을 제공하고, 실연연구과제 수행으로 수목병해충 생활사 및 방제방법 연구
- 신청안내전화 : 054-778-3851~2
부서별
시군청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