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적 특징
특징 | 이미지 | 설명 |
---|---|---|
배산임수 | ![]() |
|
안채영역과 사랑채영역 | ![]() |
|
기능에 따른 채의 분화 | ![]() |
|
경계를 이루는 담장 | ![]() |
|
평면적 특징
특징 | 이미지 | 설명 |
---|---|---|
안방 입구 대청 | ![]() |
|
사랑방 입구 누마루 | ![]() |
|
대청 마루 | ![]() |
|
정지의 부뚜막 | ![]() |
|
구조적 특징

[사진출처 : 국가한옥센터]
- 기단은 땅의 습기와 곤충을 피하기 위해 높게 쌓는다.
- 몸체부분은 나무를 사용하여 기둥, 보, 도리 등을 가지고 뼈대를 짜고, 그 사이 공간을 흙벽으로 채운 뒤, 창이나 문을 다는 형식이고, 무거운 지붕 무게는 뼈대가 받치고, 그 사이 벽면은 내부 공간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사랑채 대청 가운데 기둥이나 안채 대청의 가운데 기둥은 특별한 의미를 두어 원기둥으로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 가구부분은 들보 위에 대공을 놓고 주심열과 단차를 두어 직각방향으로 도리를 놓는데 도리 위는 서까래를 경사지게 걸쳐 지붕 형태를 만들어 맞배지붕을 기본 틀로 하여 추녀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 지붕부분은 단일 건물의 경우 팔작지붕, 맞배지붕, 우진각지붕의 형식을 가지는데, 경북지역의 경우 맞배지붕을 원칙으로 하면서 꺾임부에서는 맞배지붕의 한쪽 면만을 이용해 높이 차가 나게 서로 연결하는 독특한 수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것을 '뜰집', '서산각집'이라고 하여 안채를 높이 처리해 맞배지붕으로 덮고, 이에 직각으로 달린 양 날개채는 한단 아래에서 만나게 하는 수법을 말한다.

[경북지방 'ㅁ'자 가옥 서산각 지붕 평면도와 입면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