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Archive

영상기록

한국정신문화와인문학의미래

2018.11.06
경북도가 한국정신문화와 인문학의 미래를 정립코자 정책토론회를 하는 등 경북 정신문화 세계화에 나섰다. 도는 28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한국 정신문화와 인문학의 미래`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경북도와 김광림 국회의원(새누리당, 안동)이 주최하고 문화부, 교육부, 안동시가 후원하는 행사로 중앙정부와 정치권이 공동으로 개최하는데 그 의미가 크다.이날 신정부 문화융성 국정과제인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한국 정신문화의 부흥을 실천하기 위한 것으로 문화예술계, 인문학계, 관계기관, 시민단체 등이 참석했다.토론회는 김광억 서울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첫 번째, 김혜숙 문화융성특별위원회 위원(이화여대 교수)이 인간학으로서의 전통 인문학, 그리고 유교·선비문화(김혜숙 문화융성 특별위원회 위원)라는 주제로, 현대사회의 갈등적 가치관 재조명과 전통 인문학으로서의 유교문화 재해석에 대해 발표했다.이어 한경구 서울대 교수가 유교·선비문화의 현대적 의미와 발전방안에 대한 주제로, 전통사회의 가치규범과 현실사회의 문제점, 유교·선비문화의 현대적 의미부여와 세계화 발전방안에 대해 발표를 했다.마지막으로 자유토론에서는 김기현 문화융성 특별위원회 위원(서울대 교수) 등 5명이 유교 선비 및 인문정신 문화진흥을 위한 추진기구 설립·세계유교·선비문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토론하고, 참여자들의 질의응답으로 마무리했다. 김광림 국회의원은 “문화융성을 국정 기조로 내세운 박근혜 정부, 따뜻한 자본주의로 표상되는 `자본주의 5.0` 시대에 대한 갈망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전통 인문학으로서의 유교·선비문화를 조명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통해 실천적 과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김관용 경북지사는 “현대 문명사회는 정신문화를 중시하는 시대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으며, 돈에서 사람으로, 이익(利)추구에서 의(義)로움 추구, 서양에서 동양으로 가치관과 문명의 축이 이동되고 있다”며 “경북정신이 대한민국 정신의 창(窓)이요, 경북도가 인문학의 본향임을 확인하고, 경북정신문화를 세계화하는데 토론회 개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