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식물

경상북도 식물 게시판 제목, 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제목 내용
산초나무 각처의 산야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m까지 자란다. 소지에 1개씩 떨어져나는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 1회우상복엽으로 13∼21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었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
머귀나무 울릉도, 제주도 등의 난대림지역에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5m에 달하여 어린 가지에 가시가 많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우상복엽으로 길이 27∼80㎝로 엽축에 가시가 있으나 없는 경우도 있다. 소엽은 13∼2
당단풍 경남·북, 전남 및 강원도 이북 지역의 산지에 더러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8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7∼10㎝로서 원형이고 기부는 심장저이며 9∼11개로 갈라진다. 각 열편은 예두로 복거치가 있다
복장나무 경남·북에도 자라지만 주로 중부 이북 지역의 산복부 습지에서 잘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3매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길이 5∼10㎝로서 장타원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중국단풍 중국 원산인 낙엽교목으로서 높이 15m에 달한다. 수피는 황갈색으로 오래되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4∼8㎝로 잎의 윗부분이 얕게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 3개의 뚜렷한 맥이 발달한다
칠엽수 일본 원산의 낙엽교목으로 높이 3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5∼7개의 소엽으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장도란형으로 가운데의 것이 가장 크며 길이 20∼35㎝이고 그 옆의 소엽은 점점 작아진다. 둔한 복거치가
무환자나무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의 사찰에서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9∼13매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장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14㎝
모감주나무(염주나무) 포항시 동해면 해안가에 군락이 있다. 높이 8∼9m까지 자라지만 흔히 관목상이다. 잎은 호생하며 7∼15매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길이 25∼35㎝이다. 소엽은 난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며
헛개나무 청송 경북대 연습림과 울릉도에 군락지가 있다. 낙엽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고 길이 8∼15㎝, 너비 6∼12㎝로서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3개
망개나무 충북 속리산, 경주 주왕산, 소백산 등지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어린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이 산재한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7∼12㎝, 너비 3∼5㎝로서 장타원형 또는 원저이고 거치가 없으나 때로는
검색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05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